유기정기금 증여 신고하기
Prologue
대부분의 나라들은 20세에 성년식을 갖지만, 유대사회는 자녀가 13세가 되면 성년의식을 치르고 결혼식처럼 친구와 친척들이 모여 축하모임을 한다고 한다. 이 때 참석자들은 현금으로 부조를 하는데 대게 $200정도를 내고, 축하객이 200~300명이 온다면 4~6만달러의 거금이 모이게 되는 것이다.
이 돈은 모두 주인공의 것이고, 부모는 이 돈을 자녀 이름으로 예금을 하거나 채권을 사서 10여년 정도를 운용을 해서, 아이에게 사회생활 종자돈을 마련해 주는 것이다. 종자돈 5만달러를 매년 7~8%의 수익률로 10년간 운용한다면 약 $9.7만~$10.8만을 모으게 되는 것인데 한화로 1.2~1.3억원 정도가 되고, 대학교 등록금 정도 될 것 같다.
두 남매의 아빠가 되다 보니 꼬맹이들에게 성인이 되어서 무언가에 도전할 수 있는 기반 자금 정도는 마련해 주고 싶어서 미리 증여를 하는 방법을 찾아봤다. (요새 주변 친구들 보니까 대부분 준비를 합디다..)
1. 먼저 자녀 주식 계좌 만들기 (2020년 4월)
자녀 주식계좌를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몇 가지 준비가 필요하다. 계좌 개설할 증권사 지점에 먼저 전화를 해서 필요 서류를 확인한 바는 아래와 같다(저는 대신증권에 자녀 계좌를 개설함)
- 가족관계증명서 1부
- 보호자 신분증
- 아이들 도장 (인터넷에서 맘먹고 수제도장으로 구입)
위의 준비물 챙겨서 증권사 창구 방문하면 서류에 이것저것 서명을 하고 동의 표시를 요구한다.
그리고 MTS에서 부모가 직접거래 할 수 있도록 증권거래용 공인인증서를 모두 만들고 MTS에 등록을 하면 거래를 바로 시작할 수 있다.
2. 유기정기금 증여 신고하기
20세 미만 자녀에게는 10년마다 2,000만원을, 성인 자녀에게는 5,000만원을 비과세로 증여할 수 있다고 들어서 미리미리 증여 신고를 해야겠다고 생각 했다.
1~11세 : 2,000만원
11~21세: 2,000만원
20~30세: 5,000만원
31세: 5,000만원
이렇게 해서 총합 1억 4천만원까지 비과세로 증여를 할 수 있는데..! 비과세로 1.4억원을 증여할 수 있다니!
문제는 아이가 둘이다 보니 30년 동안 총 2.8억을 비과세로 증여를 할 수 있는데, 나도 살기 빡빡한데 저 돈을 별도로 증여할 수 있나 싶긴 했다. 당장 몇 천만원 목돈을 일시에 증여 하자니 자금 스케쥴에 너무 부담도 되고..
그래서 인터넷을 여기저기 찾다보니 유기정기금 증여라는 분할식 증여 방법이 있었다! 즉, 10년간 약 20~25만원씩 증여를 하겠다고 미리 한꺼번에 증여 신고를 하는 것이다.
이 역시 몇 가지 준비가 필요하다.
- 증여 계약서 (인터넷에서 양식 검색해서 작성 및 서명 후, 홈택스에 업로드 필요)
- 유기정기금 증여 계산식(이것도 인터넷에서 검색하면 엑셀이 나오고, 수식에 따라 월 이체할 금액을 산출)
- 홈택스 신고
위와 같은 복잡한 절차를 거쳐 결국 유기정기금 증여 신고를 완료하고, 10년간 자동이체도 은행에 등록 했다.
3. 증여한 돈으로 주식 사모으기
가장 중요한 단계이다. 결국 증여를 미리 했으면 그 돈으로 투자를 해서 자녀가 성인이 되었을 때 몇 배를 불려 줄 필요가 있겠다.
정말 이런 저런 고민을 많이 했는데…
저의 결론은 결국 back to the basic!
자녀 계좌의 극강의 장점은 30년 동안 초 장기투자를 할 수 있다는 부분인데 이런저런 투자 서적을 읽어 보고, 투자도 해보고 했지만
결국 투자의 영역에는 많은 운이 작용할 수 밖에 없는 것 같았다.
그래서 결국 택한 전략은 S&P500 ETF 60% : 미국 장기채 ETF 40% 로 꾸준히 사 모으는 전략이다.
https://www.portfoliovisualizer.com
위 사이트에서 위 투자전략을 백테스팅 해볼 수 있는데, 과거 50년동안 매월 $200씩 자산 비중을 6:4로 리밸런싱하면서 투자했다면 연 수익률 7~8% 정도 얻었다고 나온다.
초대박을 노리지 않고, 적정한 수익률을 타겟하면서 30년이라는 장기간의 시간을 믿고 꾸준히 투자하는 전략으로 실행하기로 했다.
4. 그래서 현재는?
현재 두 남매에게 5년이 넘는 기간 동안 각각 약 1,400만원 정도 이체를 해주었는데, 현재 1,850만원 정도 되었다.
코로나 및 AI열풍에 따른 급등기를 고려했을 때 소소한 수익률이긴 하지만 30년이라는 장기의 불확실성을 감안하고 우직하게 가려고 한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