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K-Venture Capitals

Introduction of Korean Venture Capital Firms

Korean VC/PE Firms Lists by AUM

①Top 20 Korean VC/PE Firms by AUM (VC, 2025 1H)

The following table presents the leading Korean venture capital and private equity firms based on their assets under management (AUM) as of the first half of 2025. The data includes both English and Korean names for each firm, along with their respective AUM figures.

Rank English Name Korean Name Assets Under Management (KRW, 2025 H1)
1 Korea Investment Partners 한국투자파트너스 ₩3,200,000,000,000
2 IMM Investment IMM인베스트먼트 ₩2,950,000,000,000
3 STIC Investments 스틱인베스트먼트 ₩2,800,000,000,000
4 Mirae Asset Venture Investment 미래에셋벤처투자 ₩2,600,000,000,000
5 KB Investment KB인베스트먼트 ₩2,400,000,000,000
6 Shinhan Venture Investment 신한벤처투자 ₩2,200,000,000,000
7 Stonebridge Ventures 스톤브릿지벤처스 ₩2,050,000,000,000
8 LB Investment LB인베스트먼트 ₩1,900,000,000,000
9 Atinum Investment 아티넘인베스트먼트 ₩1,850,000,000,000
10 Daesung Private Equity 대성창업투자 ₩1,700,000,000,000
11 Hana Ventures 하나벤처스 ₩1,600,000,000,000
12 Intervest 인터베스트 ₩1,500,000,000,000
13 Altos Ventures Korea 알토스벤처스코리아 ₩1,400,000,000,000
14 DSC Investment DSC인베스트먼트 ₩1,350,000,000,000
15 Capstone Partners 캡스톤파트너스 ₩1,200,000,000,000
16 Magna Investment 마그나인베스트먼트 ₩1,100,000,000,000
17 Premier Partners 프리미어파트너스 ₩1,050,000,000,000
18 Smilegate Investment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1,000,000,000,000
19 Wonik Investment Partners 원익투자파트너스 ₩950,000,000,000
20 HGI 에이치지아이 ₩900,000,000,000

Data Source: 2025 H1 Korean VC/PEF The Bell League Table

② Top 20 Korean VC/PE Firms by AUM (PEF, 2025 1H)

The following table presents the leading Korean venture capital and private equity firms based on their assets under management (AUM) as of the first half of 2025. The data includes both English and Korean names for each firm, along with their respective AUM figures.

Rank
English Name
Korean Name
Assets Under Management (KRW)
1
IMM Investment
IMM인베스트먼트
₩6,695.6 billion
2
Premier Partners
프리미어파트너스
₩2,332.4 billion
3
Korea Investment Partners
한국투자파트너스
₩1,051.0 billion
4
Aju IB Investment
아주IB투자
₩712.9 billion
5
Wonik Investment Partners
원익투자파트너스
₩686.3 billion
6
SV Investment
SV인베스트먼트
₩638.9 billion
7
SBVA
SBVA
₩634.6 billion
8
Now IB Capital
나우IB캐피탈
₩425.0 billion
9
Yuanta Investment
유안타인베스트먼트
₩386.0 billion
10
Stonebridge Ventures
스톤브릿지벤처스
₩308.4 billion
11
Shinhan Venture Investment
신한벤처투자
₩296.9 billion
12
KB Investment
KB인베스트먼트
₩244.3 billion
13
Intervest
인터베스트
₩240.0 billion
14
Mirae Asset Venture Investment
미래에셋벤처투자
₩222.0 billion
15
SBI Investment
SBI인베스트먼트
₩202.9 billion
16
UTC Investment
UTC인베스트먼트
₩172.3 billion
17
TS Investment
티에스인베스트먼트
₩86.5 billion
18
POSCO Technology Investment
포스코기술투자
₩52.5 billion
19
Smilegate Investment
스마일게이트인베스트먼트
₩43.8 billion
20
T Investment
인베스트먼트
₩42.5 billion

Data Source: 2025 H1 Korean VC/PEF The Bell League Table

Primer Sazze Partner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ross-Border Venture Capital Firm Bridging Korea and Silicon Valley

Primer Sazze Partners: Complete Guide to the Cross-Border VC Firm Bridging Korea and Silicon Valley (2025)

Published on FOFs.kr | Korea’s Premier Fund-of-Funds Intelligence Source

What is Primer Sazze Partners? Executive Summary

Primer Sazze Partners is a unique cross-border venture capital firm founded in 2018, specializing in early-stage investments across Korea, Southeast Asia, and North America. With $127 million USD in total fund capacity and over 178 portfolio companies, this San Jose-based firm has emerged as a key bridge between Korean and Silicon Valley startup ecosystems.

Key Facts at a Glance

  • Founded: 2018 (7 years experience)
  • AUM: $81.5 million USD (with $127M Fund II)
  • Portfolio: 178 investments, 118 active companies
  • Headquarters: San Jose, California + Seoul, South Korea
  • Recognition: Joint venture between Silicon Valley’s Sazze Partners and Korea’s Primer

Primer Sazze Company Profile: Cross-Border VC Innovation

Corporate Overview and Business Model

Company Name: Primer Sazze Partners Inc.

Founded: 2018

Headquarters: San Jose, California (690 Saratoga Ave) + Seoul, South Korea

Legal Status: Joint Venture VC Firm

Investment Focus: Cross-border early-stage investments

Investment Stages: Pre-seed, Seed, Series A (Primary focus)

Primer Sazze’s Mission and Investment Philosophy

Primer Sazze Partners operates on the unique philosophy that “Sazze” represents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emphasizing mutual learning and partnership. The firm’s investment philosophy centers on:

  • 🎯 Entrepreneur-First Approach: “We aren’t investors, we are entrepreneurs”
  • 📈 Tactical Skills Focus: SEO, product development, content strategy expertise
  • 🤝 Long-term Partnerships: Student-teacher relationship philosophy
  • 🌏 Global Bridge Building: Connecting East Asia and North America markets

Primer Sazze Leadership: Founders and Team Structure

Kiha Lee | Founding Partner & CEO

  • Background: Co-founder of original Sazze, Inc. (2007)
  • Experience: E-commerce and advertising technology entrepreneur
  • Focus: Cross-border investment strategy
  • Email: klee@primersazze.com

Greg Kim | Co-Founder & Partner

  • Role: Co-founded Primer Sazze Partners in 2018
  • Expertise: Technology investments and startup scaling
  • Focus: Portfolio company operational support
  • Investment Range: $500K – $3.0M sweet spot

Additional Key Team Members

Ohsang Kwon
Co-founder & Partner
10+
Total Team Members
6
Partners
3
Venture Partners

Fund Structure and Assets Under Management

$127M

Fund II Target Size

$81.5M

Current AUM (2024)

2

Active Funds

Fund Structure Details

Primer Sazze Fund I

  • Size: $42.9 million USD
  • Status: Closed and deployed
  • Vintage: 2018-2021

Primer Sazze Fund II

  • Target Size: $127 million USD
  • Status: Active deployment
  • LP Base: Korean and international investors

Investment Portfolio: Performance and Statistics

Portfolio Statistics (as of August 2025)

178
Total Investments
118
Active Portfolio
34
Total Exits
77
Co-investors

🚀 Recent Notable Investments (2024-2025)

  • Liberty Labs: Employee ownership transformation platform
  • Dalpha: B2B AI solutions (KRW 12B raised)
  • CarbonSaurus: AI-driven carbon accounting
  • Upstage: AI services platform ($72M Series B)

💼 Investment Strategy Details

  • Check Size: $500K – $3M typical
  • Stage Focus: Pre-seed to Series A
  • Geography: Korea, US, Southeast Asia
  • Role: Usually co-investor, not lead

Investment Strategy: Sectors and Geographic Focus

🤖 Artificial Intelligence & Machine Learning

Focus: AI applications across industries

Examples: Dalpha, Upstage, TainAI

Value-Add: Technical due diligence and scaling support

💰 FinTech & Financial Services

Solutions: Investment platforms, payment tech

Examples: Waiker financial app

Cross-border: Korea-US financial bridge solutions

🛒 E-commerce & Marketplaces

Heritage: Founders’ e-commerce background

Expertise: SEO, content strategy, growth hacking

Support: Operational excellence in digital marketing

🔐 Cybersecurity & Enterprise Software

Focus: B2B software solutions

Stage: Early-stage enterprise startups

Support: Go-to-market strategy and product development

Geographic Investment Distribution

66

South Korea Investments
(Primary market focus)

37

United States Investments
(Silicon Valley bridge)

15+

Southeast Asia Investments
(Regional expansion)

Limited Partners and Fund Structure

Fund II Limited Partner Base

Financial Institutions

  • Hana Financial Investment
  • Korea Venture Investment (sole LP in Fund I)
  • Other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Strategic Korean Entrepreneurs

  • Saeju Jeong (CEO of Noom)
  • Tim Hwang (CEO of FiscalNote)
  • John Kim (CEO of SendBird)
  • Chang Kim (CEO of Tapas Media)
  • Bong-Jin Kim (Founder of Woowa Brothers)

Strategic LP Value-Add

Primer Sazze’s LP structure is designed to provide more than capital. The Korean tech entrepreneur LPs serve as advisors, mentors, and strategic partners, offering:

  • 🎯 Market Access: Entry points into both Korean and US markets
  • 📝 Advisory Support: Direct mentorship from successful Korean founders
  • 🤝 Network Effects: Access to global Korean entrepreneur network
  • 🚀 Scaling Expertise: Proven experience in global expansion

The Primer Connection: Korean Accelerator Heritage

Primer Accelerator Legacy

Primer Sazze Partners benefits from its connection to Primer, Korea’s first accelerator, which has been operating since 2010. This heritage provides:

Proven Track Record

  • 262 startups invested since 2010
  • Major exits: Dailyhotel, Styleshare
  • Active portfolio: Myrealtrip, Idus, Soomgo

Operational Expertise

  • Batch recruitment and demo day process
  • Hands-on accelerator program experience
  • Deep Korean startup ecosystem knowledge

Conclusion: Primer Sazze’s Unique Position in Cross-Border VC

Primer Sazze Partners represents a new model in venture capital: the purpose-built cross-border firm. With $127 million in fund capacity, 178 portfolio investments, and a unique bridge between Korean and Silicon Valley ecosystems, Primer Sazze has carved out a distinctive niche in early-stage investing. Their entrepreneur-first philosophy, combined with tactical operational support and strategic Korean LP base, positions them as a key player in the growing Korea-US startup corridor.

Key Takeaways for Fund-of-Funds Investors

Cross-Border Expertise: Unique Korea-US bridge positioning
Operational Excellence: Entrepreneur background with tactical skills
Strategic LP Base: Korean unicorn founders as advisors
Accelerator Heritage: Connection to Korea’s first accelerator
Early-Stage Focus: Pre-seed to Series A specialization
Geographic Diversification: Korea, US, Southeast Asia coverage

For fund-of-funds seeking exposure to the growing Korean startup ecosystem and cross-border opportunities, Primer Sazze Partners offers a compelling combination of local expertise, global vision, and proven operational support capabilities.

Keywords

Primer Sazze Partners, Korean venture capital, cross-border VC, Korea Silicon Valley bridge, early-stage investing, Korean startups, venture capital Korea, fund of funds Korea, Korean unicorns, startup accelerator Korea, AI investment Korea, fintech VC Korea

Kolon Investment: Comprehensive Analysis of Korea’s Leading Corporate Venture Capital Firm (2025)

Kolon Investment: Complete Guide to Korea’s Leading Corporate Venture Capital Firm (2025)

Published on FOFs.kr | Korea’s Premier Fund-of-Funds Intelligence Source

What is Kolon Investment? Executive Summary

Kolon Investment Inc. is Korea’s premier corporate venture capital firm, established in 2000 as part of the renowned Kolon Group conglomerate. Managing diverse venture capital, growth capital, and M&A funds, Kolon Investment has invested in 137 portfolio companies across technology, healthcare, and emerging sectors. This comprehensive analysis provides fund-of-funds investors with essential insights into Kolon Investment’s strategy, performance, and market position in Korea’s dynamic VC ecosystem.

Key Facts at a Glance

  • Founded: 2000 (25+ years experience)
  • Parent Group: Kolon Group (Textile & Chemical Conglomerate)
  • Portfolio: 137 total investments, 21 exits
  • Headquarters: Seoul, Mirae Asset Tower
  • Focus: Corporate VC with multi-sector expertise

Kolon Investment Company Profile: Corporate VC Pioneer

Corporate Overview and Business Model

Company Name: Kolon Investment Inc.

Founded: 2000

Headquarters: Mirae Asset Tower, Floor 16 (Daechi-dong), 620 Teheran-ro, Gangnam-gu, Seoul, South Korea

Legal Status: Corporate Venture Capital (CVC) Firm

Investment Focus: Multi-sector VC specializing in biotechnology, fintech, AI, and emerging technologies

Investment Stages: Start-up, growth capital, M&A, and corporate restructuring

Kolon Investment’s Mission and Investment Philosophy

As part of the Kolon Group ecosystem, Kolon Investment leverages corporate synergies while maintaining independent investment decisions. The firm’s investment philosophy centers on:

  • 🎯 Strategic Synergy: Investments aligned with Kolon Group’s industrial expertise
  • 📈 Multi-Stage Support: From startup to growth capital and M&A
  • 🤝 Corporate Partnership: Access to Kolon Group’s industrial network
  • 🌍 Innovation Focus: Technology-driven companies with global potential

Kolon Investment Leadership: Management Team

Mr. Ahn | Chief Executive Officer

  • Role: CEO and Head of Investment Division
  • Leadership: Guides Kolon Investment’s strategic direction
  • Experience: Extensive background in venture capital and corporate strategy
  • Focus: Corporate venture capital and strategic investments

Key Investment Team Members

  • Boyoung Kim: Managing Director (Former Korea Economic Daily IT reporter)
  • Wooyoung Kim: Deputy VP (15 years at Aju IB Capital)
  • Yoon jong Choi: Managing Director (Former Hyundai Motor TIPS)
  • Bae-ho Choi: Managing Director (Continental, KDB Bank background)

Investment Team Expertise

Technology
AI, IoT, Semiconductors
Healthcare
Biotech, Medical Devices
Automotive
Electronics, Components
Content
Gaming, Media, Entertainment

Investment Portfolio: 137 Companies Across Multiple Sectors

137

Total Investments

21

Portfolio Exits

25

Years Experience

Kolon Investment Performance: Notable Portfolio Companies

Key Portfolio Companies & Recent Investments

GOQUAL
IoT Smart Home (2024)
NeuroFit
AI Brain Diagnosis (2023)
Pearl Abyss
Gaming (Black Desert)
SundayToz
Mobile Gaming

🎮 Gaming & Entertainment Success

  • Pearl Abyss: Black Desert MMO developer
  • SundayToz: Mobile game pioneer
  • Com2uS: Mobile gaming platform

🔬 Healthcare & Biotech Investments

  • Kanaph Therapeutics: $21M Series B (2020)
  • Future Medicine: ₩7B Series B
  • Huons: Pharmaceutical company

Investment Strategy: Sectors and Approach

🔬 Biotechnology and Healthcare

Focus: Therapeutics, medical devices, digital health

Notable: Kanaph Therapeutics, Future Medicine

Synergy: Kolon Life Science connections

💻 Information Technology

AI & IoT: Smart home, industrial applications

Gaming: Mobile and PC gaming platforms

Enterprise: B2B software solutions

🚗 Advanced Materials & Components

Automotive: Electronic components, semiconductors

Materials: Advanced nano products

Eco-friendly: Green technology solutions

🎯 Emerging Technologies

AI/ML: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Fintech: Digital financial services

Content: Media and entertainment platforms

Kolon Group Corporate Synergies

Industries

Chemicals & Materials
(Industrial expertise)

Life Science

Pharmaceutical & Biotech
(Healthcare synergies)

Global

International Network
(Market access)

Recent Investment Activity & Market Position

2024 Investment Highlights

GOQUAL (Hey Home) – Series B

Investment Date: January 2024

Sector: IoT Smart Home

Co-investors: LG, Kiwoom Securities

AI Fund Development

Fund Size: ₩70 billion (~$52M)

Focus: Artificial Intelligence

Status: Fund construction secured (2024)

Conclusion: Kolon Investment’s Strategic Role in Korea’s CVC Landscape

Kolon Investment stands as a leading example of successful corporate venture capital in Korea, combining the financial resources and strategic insights of the Kolon Group with independent investment expertise. With 137 portfolio investments, 21 successful exits, and 25 years of experience, Kolon Investment continues to play a crucial role in Korea’s venture ecosystem while leveraging unique corporate synergies for portfolio company growth.

Key Takeaways for Fund-of-Funds Investors

Corporate Backing: Kolon Group industrial synergies
Proven Track Record: 25 years, 137 investments, 21 exits
Multi-Stage Capability: Startup to M&A coverage
Sector Expertise: Healthcare, tech, materials leadership
Strategic Value-Add: Corporate partnership opportunities
Market Recognition: Active participation in major rounds

For more insights on Korean venture capital and fund-of-funds strategies, visit FOFs.kr | your comprehensive resource for Korean VC market intelligence and investment opportunities.

Keywords

Kolon Investment, Korea Investment Partners, Korean VC, KIP venture capital, corporate venture capital Korea, CVC Korea, Korean startup investment, biotechnology VC Korea, gaming investment Korea, Kolon Group, fund of funds Korea, Korean VC market, Seoul venture capital, corporate VC strategy

Korea Investment Partners (KIP): Complete Guide to Korea’s Leading Multi-Sector Venture Capital Giant (2025)

Korea Investment Partners (KIP): Complete Guide to Korea’s Leading Multi-Sector Venture Capital Giant (2025)

Published on FOFs.kr | Korea’s Premier Fund-of-Funds Intelligence Source

What is Korea Investment Partners (KIP)? Executive Summary

Korea Investment Partners (KIP) is one of Korea’s largest and most established venture capital firms, managing $4 billion in assets under management and operating as the VC arm of Korea Investment Holdings since 1986. This comprehensive analysis covers everything fund-of-funds investors need to know about KIP’s performance, global expansion strategy, and dominant position in Korea’s VC ecosystem.

Key Facts at a Glance

  • Founded: 1986 (38+ years experience)
  • AUM: $4 billion USD (58 active funds)
  • Portfolio: 900+ investments, 6 IPOs, Notable unicorns
  • Global Presence: Seoul, Shanghai, Beijing, Singapore, Sunnyvale
  • Track Record: 2.0x average multiple, 16.7% IRR since 2001

Korea Investment Partners Company Profile: VC Pioneer & Market Leader

Corporate Overview and Business Model

Company Name: Korea Investment Partners Co., Ltd.

Founded: 1986

Headquarters: 10F Asem Tower, 517 Yeongdong-daero, Gangnam-gu, Seoul, South Korea

Parent Company: Korea Investment Holdings (KIH) – Public Financial Conglomerate

Investment Focus: Multi-sector VC/PE firm specializing in technology, healthcare, fintech

Investment Stages: Seed, Series A-C, Growth, and Pre-IPO investments

KIP’s Mission and Investment Philosophy

Korea Investment Partners positions itself as a global venture capital firm “ON A MISSION TO BUILD THE FUTURE by backing the global winners of tomorrow.” The firm’s investment philosophy centers on:

  • 🎯 Global Market Leadership: Identifying and nurturing future market leaders
  • 📈 Scale-Up Expertise: Focusing on companies nearing unicorn status
  • 🤝 Strategic Value Creation: Hands-on support and global network access
  • 🌏 International Expansion: Bridging Korean innovation with global markets

KIP Leadership Structure: Korea Investment Holdings Ecosystem

Yer-hyun Baek | CEO & President

  • Vision: “Asia’s No. 1 venture capital firm”
  • Strategy: Global expansion and 10 trillion won AUM target
  • Focus: International market penetration and unicorn creation
  • Leadership: Driving KIP’s transformation into global VC leader

Korea Investment Holdings (Parent)

  • Status: Publicly-listed financial conglomerate (Korea)
  • Divisions: Securities, Asset Management, Banking, Credit Finance
  • Strategic Role: Provides institutional backing and LP base

Team Structure (42 Total Members)

25
Partners
9
Team Members
8
Investment Professionals
5
Global Offices

Assets Under Management (AUM): $4 Billion Global Portfolio

$4B

Total AUM (2024)

58

Active Funds

42

Team Members

Fund Performance Metrics (Since 2001)

18
Liquidated Funds
2.0x
Average Multiple
16.7%
Average IRR
$500M
Annual Investment (2021)

KIP Investment Performance: Global Portfolio Success Stories

Portfolio Statistics (as of 2025)

900+
Total Investments
77
Active Portfolio
6
IPOs
10%
Korea VC Market Share

🦄 Notable Portfolio Unicorns & Success Stories

  • Kakao (KOSDAQ): Korea’s messaging & platform giant
  • Naver (KRX): Korea’s leading search engine
  • Didi Chuxing: China’s ride-hailing leader
  • YG Entertainment: K-pop entertainment powerhouse

🌏 Global Success Portfolio

  • Swiggy (India): Food delivery unicorn
  • Halodoc (Indonesia): Healthcare platform
  • Tiki.vn (Vietnam): E-commerce leader
  • Shanghai Henlius Biotech: Biotech IPO success

Investment Strategy: Multi-Sector Global Approach

🔬 Biotechnology and Healthcare

Focus: Medical devices, digital health, biotech

Expertise: FDA approval processes, clinical trials

Portfolio: Osstem Implant, multiple biotech ventures

💻 Information Technology

AI & Big Data: Machine learning applications

Enterprise Software: SaaS and B2B solutions

Gaming: Mobile games and entertainment platforms

💰 Financial Technology

Digital Payments: Fintech infrastructure

Lending Platforms: Alternative finance solutions

Blockchain: Cryptocurrency and DeFi innovations

🚀 Emerging Technologies

Advanced Materials: Semiconductor applications

Mobility: Electric vehicles and autonomous systems

PropTech: Real estate technology solutions

Global Investment Strategy & Geographic Expansion

KIP Global Office Network

🇰🇷 Seoul

Headquarters & Korea Operations

🇨🇳 China

Beijing, Shanghai, Guangzhou, Chengdu

🇸🇬 Singapore

Southeast Asia Hub (KIPSEA)

🇺🇸 Sunnyvale

Silicon Valley Operations

🌏 Southeast Asia Expansion (KIPSEA)

  • Fund Size: $60 million flagship fund
  • Strategy: Seed to Series B investments
  • LPs: Samsung Life, Korea Development Bank
  • Focus: Fintech, PropTech, Enterprise Software

📊 Investment Distribution

  • Korea: Core market focus (58% of portfolio)
  • China: 49 investments, major presence
  • US: 11 investments, technology partnerships
  • Southeast Asia: Growing regional presence

Recent Investment Activity & Market Trends (2024-2025)

2024-2025 Notable Investments

Aldavar (Series A – $7.7M)

Medical simulators using biopolymer technology – Korean startup developing next-generation medical training solutions

Studio Meta K (April 2025)

Media and Information Services (B2B) – Latest investment in content creation and distribution

maihub (Series A – January 2025)

Most recent portfolio addition – technology platform serving enterprise customers

KIP’s Future Growth Strategy (2025-2030)

  • 🎯 AUM Expansion: Target 10 trillion won ($7.5B) AUM within 10 years
  • 🌏 Geographic Growth: European fund launch planned, continued Asia expansion
  • 🦄 Unicorn Creation: Focus on scale-up investments nearing unicorn status
  • 🤖 Technology Leadership: AI, biotech, and emerging technology investments

Conclusion: KIP’s Dominance in Korea’s VC Ecosystem

Korea Investment Partners stands as a titan in Asia’s venture capital landscape, combining nearly four decades of investment expertise with a truly global outlook and massive scale. With $4 billion in AUM, operations across 5 countries, and an impressive portfolio including Korean tech giants Kakao and Naver, KIP represents the evolution of Korean venture capital from domestic focus to global ambition.

Key Takeaways for Fund-of-Funds Investors

Scale & Experience: 38+ years, $4B AUM, 900+ investments
Proven Performance: 2.0x multiple, 16.7% IRR track record
Global Presence: 5-country operation, international portfolio
Market Leadership: 10% of Korea’s total VC investment volume
Institutional Backing: Korea Investment Holdings subsidiary
Portfolio Quality: Kakao, Naver, Didi, global unicorns

KIP’s unique position as both a dominant Korean VC and expanding global player makes it a critical consideration for any fund-of-funds strategy targeting Asian markets. The firm’s systematic approach to international expansion, combined with its proven ability to identify and nurture market-leading companies, positions KIP as a key gateway to Korea’s innovation economy and broader Asian growth markets.

Keywords

Korea Investment Partners, KIP venture capital, Korean VC, venture capital Korea, Korea Investment Holdings, KIP AUM, Korean unicorns, Korea startup ecosystem, Asian venture capital, KIP portfolio, Seoul VC, Korean tech investments, KIPSEA Singapore, fund of funds Korea

InterVest Korea: A Comprehensive Analysis of South Korea’s Leading Independent Venture Capital Firm

InterVest Korea: Complete Guide to South Korea’s Leading Independent Venture Capital Firm (2025)

Published on FOFs.kr | Korea’s Premier Fund-of-Funds Intelligence Source

What is InterVest Korea? Executive Summary

InterVest Co., Ltd. is South Korea’s largest independent venture capital firm, managing 1.2 billion USD in assets and specializing in startup investments since 1999. This comprehensive analysis covers everything fund-of-funds investors need to know about InterVest’s performance, strategy, and market position in Korea’s VC ecosystem.

Key Facts at a Glance

  • Founded: 1999 (25+ years experience)
  • AUM: 1.2 billion USD
  • Portfolio: 2 unicorns, 25 IPOs
  • Headquarters: Seoul, Gangnam Trade Tower
  • Recognition: 10-Year Consecutive A-rated VC by Korean Government

InterVest Company Profile: Korea’s Independent VC Pioneer

Corporate Overview and Business Model

Company Name: InterVest Co., Ltd.

Founded: 1999

Headquarters: Trade Tower 511, Yeongdong-daero, Gangnam-gu, Seoul, South Korea

Legal Status: Independent Venture Capital Firm

Investment Focus: Multi-sector VC specializing in biotech, fintech, AI, and emerging technologies

Investment Stages: Seed, Series A, Series B, Series C, and pre-IPO

InterVest’s Mission and Investment Philosophy

InterVest positions itself as a reliable VC financing partner that truly helps ventures achieve sustainable and scalable growth. The firm’s investment philosophy centers on:

  • 🎯 Risk Assessment Excellence: Evaluating risks with objective analysis
  • 📈 Market Timing: Preparing for capital market waves
  • 🤝 Value-Added Partnership: Hands-on management support
  • 🌏 Global Expansion Platform: World-class internationalization support

InterVest Ownership Structure: Leadership and Governance

Tae-Yong Lee | Founder & Co-CEO

  • Previous: Founder of Prime Plus Capital Co., Ltd.
  • Experience: President of Orion Asset Management (New York)
  • Background: Started career at Tong Yang Securities as analyst
  • Education: M.S. degree holder

Chung-Hee Woo | Co-Founder & Co-CEO

  • Role: Co-founded InterVest in 1999
  • Expertise: Key architect of firm’s expansion strategy
  • Focus: Strategic planning and business development

Team Structure (32 Total Members)

17
Partners
3
Venture Partners
7
Principals
5+
Senior Associates

Assets Under Management (AUM): 1.2 Billion USD Portfolio

$1.2B

Total AUM (2021)

5

Active Funds

20

Investment Professionals

InterVest Investment Performance: Track Record Analysis

Portfolio Statistics (as of November 2024)

197
Total Investments
99
Active Portfolio
2
Unicorns
25
IPOs

🦄 Noom (Digital Health Unicorn)

  • Valuation: 3.7+ billion USD
  • Sector: Digital health/wellness
  • Market: Global (US-based)

🦄 Kredivo Holdings (Fintech Unicorn)

  • Achievement: Unicorn status in 2022
  • Timeline: 2 years from investment
  • Market: Southeast Asia

Investment Strategy: Sectors and Approach

🔬 Biotechnology and Healthcare

Expertise: Medical and biology backgrounds on team

Value-Add: Network of hospitals, doctors, researchers

Focus: Korea’s aging population, healthcare innovation

💻 Information Technology

AI & ML: Next-generation applications

Blockchain: Cryptocurrency and DeFi platforms

VR/AR: Immersive technology solutions

💰 Financial Technology

Digital Banking: Payment and lending solutions

Investment Tech: Trading platforms

RegTech: Compliance technology

🚀 Emerging Technologies

Semiconductor: Advanced chip technology

Space Tech: Satellite applications

Quantum: Next-generation computing

Geographic Investment Strategy

65

South Korea Investments
(Core market focus)

18

United States Investments
(Technology partnerships)

$60M

Southeast Asia Fund
(Regional expansion)

Conclusion: InterVest’s Role in Korea’s VC Ecosystem

InterVest stands as a cornerstone of South Korea’s venture capital ecosystem, combining over two decades of investment expertise with a forward-looking approach to emerging technologies. With 1.2 billion USD in AUM, an impressive track record including 2 unicorns and 25 IPOs, and strategic expansion into Southeast Asia, InterVest continues to play a pivotal role in nurturing Korea’s startup ecosystem.

Key Takeaways for Fund-of-Funds Investors

Proven Track Record: 25+ years, 2 unicorns, 25 IPOs
Independent Structure: No chaebol conflicts
Government Recognition: 10-year consecutive A-rating
International Scope: Southeast Asia expansion platform
Sector Expertise: Biotech, fintech, AI leadership
Strong LP Base: Pioneer in foreign LP relationships

For more insights on Korean venture capital and fund-of-funds strategies, visit FOFs.kr | your comprehensive resource for Korean VC market intelligence and investment opportunities.

Keywords

InterVest Korea, Korean venture capital, VC Korea, startup investment Korea, biotechnology VC, fintech investment Korea, Korean unicorns, Seoul venture capital, fund of funds Korea, Korean VC market, K-startup ecosystem, venture capital Seoul

투자를 위한 Tech 기초 정리하기

학창시절 미적분을 공부하고, 소인수 분해 문제를 풀고, 주기율표를 외우는 등 이 많은 복잡한 이론과 수식들을 왜 공부하는 걸까?라는 궁금증을 갖으면서도 why?에 대한 답을 찾는 데는 노력을 기울이기 어려웠다. 입시를 위해서는 문제 하나 더 잘 풀고, 진도 나가기 바빴던 평범한 학생이었고, 이는 일부 특출난 사람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랬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대학에서 공학을 배우고, 회사에서 여러 기술 기업에 대한 투자 검토를 하면서 학창시절 배운 과학을 배운 이유에 대한 깨달음을 얻을 때가 있다. 물론, 소수의 천재들처럼 자연과 물리 현상을 관찰하고 규칙을 발견해서 수학적으로 정리하는 것은 내가 할 수 있는 영역은 아니지만, 새로 나오는 혁신적인 기술들이 어떤 과학 이론을 근간으로 해서 나왔는지, 그리고 상용화를 위해 어떤 연구를 하는지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가끔 중고등학교 과학 교과서를 다시 펼쳐 보고 싶게 만들기도 한다.

2010년 중후반부터 테크 스타트업이 각광을 받고 투자유치를 받으면서 기술에 대한 이해가 중요한 시대가 되었고, VC/PE업계에 공학 전공자 및 산업계 연구원들이 많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투자 업계에 기술에 대한 이해는 더 중요해 질 것 같고, 개인적으로도 초보 투자자들을 위한 과학 이론을 정리한 책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여러 과학 고전 들을 읽어 봤는데, 이를 좀 잘 정리하면서 공부해서 내 투자 체력도 높이는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 The Little History of Science
  • 어떻게 우리는 여기까지 왔을까
  • 코스모스
  • 거의 모든 것의 역사

위의 책들을 읽어 보면서 인류와 과학의 발전 역사가 정말 흥미진진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는데, 최근 2차전지와 관련된 Deal들을 보면서 기초 화학에 대한 지식이나, 물리학 등에 대한 공부의 필요성도 느끼면서 차근차근 정리해 나가자는 생각이 들었다.

이차전지 안에서 리튬이온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다양한 배터리 기술이 등장하고, 탄소 중립 관련해서는 수소 연료전지, 수전해 스택, 수소 유통, CCUS 등의 기술들도 등장하고 있다. AI는 SW와 관련된 모든 기술들이 집약되어 발전해 나가는 모습이고, 엄청나게 많은 컴퓨팅 파워를 위해 에너지 산업까지 새로운 혁신을 요구 받고 있는 상황이다. 반도체는 이미 인류의 삶에 있어서 필수 원자재와 같은 존재이고, 바이오는 내가 이해할 수 없는 영역으로 발전해 가고 있는 느낌이라 지금이라도 공부하지 않으면 영원히 따라잡을 수 없을 것 같다. 역시 네덜란드 튤립 버블과 비교되던 블록체인과 비트코인은 이제 하나의 안전자산으로 자리 잡아 전통 금융시장에 침투하고 있다.

더 많은 변화와 발전을 놓치기 전에, 그리고 나의 자녀들이 학교에서 수학과 과학을 공부할 때 ‘이걸 어디다 써먹어요?’라는 질문에 내가 답을 해주기 위해 지금부터 잘 정리해 보겠다.

전략투자의 모든 것③ – 해결해야 할 과제

전략투자 조직이 맞이할 여러 어려움 및 갈등 상황

전략투자 조직을 세팅하다 보면 여러가지 어려움이 생기기 마련인데, 크게 아래의 사항들을 생각해 볼 수 있다.

① 신-구 조직 간의 갈등
② 기존-경력 인력 간의 갈등
③ 전략적 가치에 대한 입증의 어려움

① 신-구 조직 간의 갈등
먼저, 가장 대표적인 상황은 신-구 조직 간의 갈등이다. 전략투자 조직은 기존 기업이 영위하던 본 사업과 성격이 다르고, 업무 자체도 새롭다 보니 기존 전통 조직과 부딪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신사업을 추진하는 조직이나 신규 조직들이 갖는 갈등상황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겠다.
1차적으로 재무실이나 재경본부와 같이 회사의 재원을 관리하는 조직과 갈등이 잦을 수 있다. 재무 조직의 입장에서는 기존의 설비나 시설 투자의 심사 프로세스와 전혀 다르게 진행되고, 생소한 term이 많은 전략투자 조직의 투자 심사 보고서를 이해하기 어렵고, 기존 사업 대비 어마어마한 불확실성과 리스크를 가지고 있는 벤처투자에 대해 이해하기가 어렵다. 전략투자 조직 입장에서는 기존 사업 예산 심사와 동일한 프로세스로 스타트업 투자 건을 검토하면 아무런 일을 진행할 수가 없다. 기본적으로 벤처투자는 리스크가 높고, 10개 투자해서 1-2개 대박 낸 걸로 나머지 손실을 만회하는 구조인데, 건 별로 이에 대한 리스크를 논하며 확실한 구매나 계약건을 가져오라고 하면 벤처투자 진행이 불가능하다. 이렇게 대립적인 구조로 전략투자 조직과 기존 조직이 운용되다 보면, 1-2건의 벤처투자 실패 사례를 구실로 재무 조직은 전략투자의 문제점을 확대 보고하고, 여러 공격을 받다가 전략투자 조직이 축소되거나 없어지는 경우도 종종 볼 수 있다.

② 기존-경력 인력 간의 갈등
전략투자 조직은 일반적으로 경력직 인력 중심으로 구성을 하게 된다. 우선, 기업에서 투자 업무를 경험한 사람들을 찾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해당 인력 Pool 자체가 많지도 않다. 또한, 일반적으로 투자 업무 인력의 급여가 높다 보니 기업으로 유인하는 일도 쉬운 일은 아니다. 어찌해서 초기 인력을 구성했다 하더라도, 기존 인력과의 갈등 상황이 자주 벌어진다. 우선, 금융업계에서 투자 인력을 데리고 오는 경우가 많은데, FI 입장에서만 투자를 해 본 인력은 기업이 원하는 전략투자의 취지를 이해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린다. 예를 들어 FI 입장에서는 투자 이후, 회수 수익률과 회수 방안을 기본적으로 고려하는데, 기업 입장에서는 회수 수익률 보다 전략적 가치를 우선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그리고 기업 입장에서는 벤처투자 후 회수가 대박이 나더라도 영업이익에 반영되지도 않는 기타수익에 불과하다. 결국 본 사업에 도움이 되는 투자를 해야 결국 실적과 기업가치에 더 도움이 되다 보니, 전략적 시너지를 더 중요시 하게 된다. 하지만 FI 출신 인력들은 이에 대한 이해가 없는 상태에서 기업에 합류해서 전략투자 업무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다보니 여기서 부딪히는 경우가 다수 있다. 또 다른 안 좋은 사례로는 내부에 투자 업무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것을 빌미로 무리하게 대외에 주목 받을 만한 투자를 무리하게 해서 경력만 쌓고 이직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결국, 전략투자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기업의 본업에 대한 이해도도 어느 정도 있는 인력을 찾는 것이 이와 같은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겠다.

③ 전략적 가치에 대한 입증의 어려움
마지막으로 이런저런 어려움을 극복하고 전략투자조직이 신생조직으로서 잘 자리 잡더라도 항상 맞이하는 챌린지가 있다. 바로 전략투자가 어떻게 회사에 기여했느냐에 대한 부분이다. 스타트업에 투자해서 스타트업이 IPO에 성공하거나 타 기업에 인수되어 회수가 되어 재무적으로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을 수도 있지만, 전략적인 측면에서는 오히려 돈만 벌고 본 업에 기여한 것은 없다는 비판을 들을 수 있다. 결국, 전략투자의 본질은 어떻게 본업 경쟁력을 강화했느냐, 혹은 우리가 나아가려는 시장의 기술적인 흐름과 혁신적인 서비스의 모습을 사전에 탐지하고 대응 전략을 세웠냐 등 전략적인 목적에서의 가치를 입증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투자한 기업이 사업부서와 계획했던 공동 연구 로드맵이나 사업협력계약을 잘 이행하고 있는지와 어떤 새로운 시각과 뷰를 우리에게 제공했는지에 대해 집중해야 한다. 그리고 이는 결국 협력하는 R&D조직이나 사업부서의 의견이 중요할 수 밖에 없고 그 조직들과 잘 관계를 맺고 협력을 해야 하는 이유다. 간혹, 투자만 해놓고 협업하는 다양한 조직과의 의사소통은 소홀히 해서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서서히 소멸해 가는 전략투자 조직도 있기 때문에 이를 주의할 필요가 있다.

결국, 전략투자, 크게는 오픈이노베이션이 회사 내에서 잘 작동하려면 기존의 조직문화, 인력들과 잘 조화되어 돌아가야 한다. 외부에서 유명한 하우스의 훌륭한 투자 수익률을 낸 track record가 좋은 인력을 데리고 온다고 이러한 미션이 잘 수행되지 않는 이유다. 결국 여러 이해관계자들과 좋은 의사소통을 할 수 있고, 진정성 있게 본업과 스타트업의 협력을 이끌 수 있는 인력을 잘 뽑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전략투자의 모든 것② – 기능

전략투자 조직 별 기능 살펴보기

앞서 일반적인 기업 내 전략투자 조직에 대해 살펴 봤는데, 이번에는 각 전략투자 조직 별 기능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고자 한다.

① 사내 벤처 (혹은 사내 아이디어 공모)
② 벤처투자 (CVC)
③ M&A 및 지분투자 (Corporation Development)

① 사내벤처
사내벤처는 직원들의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사업화에 활용하고자 하는 취지로 여러 대기업들이 추진했던 방식이다. 하지만, 기업입장에서는 인력을 본 사업과 무관한 업무에 1~2년을 투입한다는 측면에서 비용이 많이 들고, 일부 기업은 인큐베이팅에 대한 비용도 지원해 주는 형태도 있어 대기업이 아니면 지원하기 어려운 조직이다. 그래도 사내벤처를 통해 성공적인 사내벤처에 대한 초기 지분 확보, 혁신적인 사업모델 발굴,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 등 여러 측면의 장점이 있다. 그리고 직원 입장에서도 스타트업 창업의 리스크 없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도전할 수 있는 기회가 주워지고, 실패하더라도 복귀 옵션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 여러 측면의 장점이 있다.

물론 혹자는 안정적인 환경에서 성공적인 사내벤처가 나올 수 있겠냐는 반문을 할 수 있으나, 아웃라이어에서도 나오지만 성공을 위해서는 기회와 행운도 중요하기 때문에 여러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고, 심리적으로 안정적인 사내벤처가 오히려 창업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는 시각이 있겠다. 어찌됐든, 사내벤처를 구성하려면 기본적으로 사업 아이템이나 기술들에 대한 심사가 필요하고, 기존 업무에서 벗어나 새로운 도전을 하려는 인재들에 대한 지원책도 필요하고, 또한 기존 조직 및 인력들의 시기와 질투에서 자유로울 수 있도록 별도의 공간에서 사내벤처 조직의 인큐베이션이 필요하다.

사내벤처의 장점은 AC와의 네트워크 형성이 가능하다는 측면이 있다. 아무래도 사내벤처 조직을 정착시키려면 초기투자 및 육성에 경험이 있는 AC들의 노하우가 필요하고, 이들과의 네트워킹을 통해 사내벤처 조직 및 프로세스를 안정화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면서 AC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창업초기 기업들과 함께 여러 대학 lab에서 창업을 시도하는 연구인력 및 기술들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고, 이러한 무형적인 네트워크 자산을 ②벤처투자 조직과 잘 연계해서 초기 기술 기업에 대한 투자를 잘하는 AC를 통해 Seed투자를 하는 펀드에 LP로 참여하여 전략적 fit이 맞는 분야의 초기 기업에 대한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② 벤처투자 (CVC)
벤처투자 조직은 전략적 협업 목적 혹은 관련 시장의 새로운 기술 및 혁신적인 서비스 제공자들을 찾는 미션이 있다. 이는 결국 오픈이노베이션의 취지와 맞물리는데 내부 R&D나 본업에서의 경쟁 및 시장변화만 대응하다보면 저 구석에서 피어나고 있는 새로운 혁신 서비스나 기술들을 놓칠 가능성이 높다. 시장을 몇 십년간 지배했던 대기업이 혁신적인 작은 스타트업에 순식간에 고전하는 모습을 수차례 지켜본 기업들이 벤처투자에 관심을 갖게 된 주요 배경이라고 할 수 있겠다.
결국 이런 혁신적인 기업들이 어떤 아이디어와 사업모델을 갖고 시장을 변화시키려는지를 사전적으로 탐지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VC펀드에 출자해서 VC로부터 투자 포트폴리오에 대한 정기적인 보고를 받는 방법이 있다. 혹은 기업이 보유한 다양한 채널을 통해 sourcing한 스타트업에 직접 투자를 할 수도 있다. 하지만 결국 투자는 현금이 투입되어야 하고, 재원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집행하는 방법을 고민하게 된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전략이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겠다.

방법투입 재원관여도
① VC펀드 출자적음적음
② 스타트업 직접투자중간중간
③ M&A 등대규모높음

VC펀드는 소액의 펀드 출자를 통해 실패 리스크는 최소화 하고,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지만, 펀드를 통한 간접투자이다 보니 전략적인 시너지를 위한 협업을 체결하기는 어려움이 있다. VC펀드를 통해 전략적 fit이 맞고, 개발 로드맵 등을 잘 달성하는 팀임을 검증했다면, 본격적인 전략적 협업을 위해 직접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 전략적 투자자로서 투자를 함으로써 스타트업의 개발 리소스를 어느 정도 할당 받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전략적인 협업을 위한 개발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협업 프로젝트가 성공적이라고 하면 스타트업의 인수를 검토하게 된다.

③ M&A 및 직접투자
VC펀드 혹은 소액 직접투자를 통해 어느 정도 전략적 fit을 맞춰본 스타트업이 성장성도 우수하고, 향후 기업이 생각하는 전략적 성장 동력의 근간이 되는 기술 및 서비스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이 되면, M&A 및 대규모 지분 인수를 검토해 볼 수 있다. 이럴 경우, 별도의 프로젝트 팀을 꾸려 M&A 딜을 진행할 수 있고, 이 때는 재무/법무 자문사 등 다양한 자문사를 통해 인수했을 때의 여러 리스크를 검토하게 된다. M&A를 한다는 것은 대상회사의 사업을 본업으로 경영한다는 측면이고, 그렇기 때문에 PMI 등 인수 후 전략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할 필요가 있다. 스타트업이 대기업에 인수된 이후에 문화나 프로세스의 차이로 계획했던 시너지들이 실패하는 사례가 대단히 많고, 또한 스타트업의 수평적인 문화에서 일하던 핵심 인력들이 대기업에 인수된 이후 퇴사하는 경우도 많이 있어 인수 후 화학적인 결합을 어떻게 할지에 대한 고민을 많이 하게 되고, 또한 매우 중요하다. 특히, 피인수 기업 및 해당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낮은 모기업의 임원 등이 해당 기업에 C레벨로 가게 되었을 때 발생하는 여러 불협화음들은 너무나 빈번하게 일어나는 일이다 보니, 인수한 기업의 주요 경영진은 유지하고, 시너지 및 모기업과의 협업을 위한 조직만 세팅하는 형태의 PMI 전략이 더 나은 선택으로 생각된다.

이후에는 전략투자 조직을 새로 꾸리는 기업들이 겪게 되는 여러 애로 및 갈등 상황 등을 살펴 보겠다.

전략투자의 모든 것① – 조직

기업의 전략투자 조직

기업은 늘 성장의 압박에 시달리기 때문에 기존 사업이 정체 했을 때 새로운 성장 돌파구를 찾기 위해 고민한다. 2010년 초부터 유행하던 방식은 혁신과 오픈이노베이션이라는 이름으로 신사업을 추진하는 조직을 신설해서 추진하는 방식이었다. 크게 3개의 조직으로 구성할 수 있다.

① 사내 벤처 (혹은 사내 아이디어 공모)
② 벤처투자 (CVC)
③ M&A 및 지분투자 (Corporation Development)

① 사내 벤처
사내벤처 조직은 기업의 조직원들의 아이디어 중 우수한 아이디어를 선정하여 인큐베이팅 할 시간을 부여하고(보통 1~2년), 독자적인 생존 혹은 외부 투자유치가 가능한 시점에 Spin-off하여 독립하는 구조다. 독립할 때 모기업에서 Seed투자를 집행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5~15억원 사이의 소액을 투자해 준다. 이상적인 경우는 독립할 때 사업모델에 대한 성장성을 외부에서 인정 받아 VC나 AC의 투자유치를 받는 경우도 있다. 이는 사내벤처 조직의 역량만으로는 힘들기 때문에 ‘②벤처투자’ 조직의 VC 네트워크를 통해 도움을 받는다. 여느 스타트업처럼 사내벤처 역시 성공하기란 매우 어렵지만 그래도 독립 후 성장하여 상장까지 한 사례를 왕왕 찾아볼 수 있다.

② 벤처투자 (CVC)
벤처투자 조직의 역할은 크게 직/간접 투자로 나눌 수 있다. 스타트업에 직접투자하는 직접투자, VC가 운용하는 펀드에 투자하는 간접투자로 나눌 수 있다. 물론, 일부 기업의 경우 CVC법인을 별도의 자회사로 설립하여 운용하는 경우가 있고, CVC법인을 전략투자의 vehicle로 운용하거나 혹은 수익성 중심의 민간 VC처럼 운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CVC법인은 별도로 뒤에서 다루고자 한다.
먼저, VC펀드에 투자하는 간접투자의 경우를 보자면, 이는 투자 재원은 최소화하면서 전문성 있는 외부 VC를 통해 신기술 및 시장 동향을 파악하는 도구로 활용성이 높다. 예를 들어, 1,000억원 규모의 VC 펀드에 10억원만 출자를 해도 1,000억원이 투자하는 다수의 스타트업에 대한 기술동향 및 시장동향을 VC로부터 보고 받을 수 있다.
스타트업에 대한 직접투자의 경우는 VC펀드에 투자하는 간접투자 대비 리스크가 높고, 상장기업의 경우 공시 및 재무제표 작성, 공정가치평가 등 운용 측면의 부담이 많기 때문에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어느 정도 성장성이 검증되고, 기업과 전략적인 fit이 맞는다는 판단 하에 직접투자를 집행하게 된다. 그래서 VC펀드를 통해 다수의 스타트업들에 대한 정보를 sensing하고, 기술적인 로드맵을 달성하는 우수한 팀임을 확인하고, 전략적인 협업 및 R&D를 보다 강화하기 위해 직접투자를 집행하여 보다 강화된 형태의 협업을 진행한다.

③ M&A 및 지분투자 (Corporation Development)
M&A 및 지분투자는 ① 사내벤처, ② 벤처투자 등을 통해 신사업에 대한 가능성을 타진한 이후에 기업의 신성장동력으로 추진하겠다는 내부 의사결정이 이루어지면 해당 target 기업을 인수하거나 대규모 지분을 확보하는 형태로 진행된다. 물론, 경쟁사를 인수하거나, 시장에 매물로 있는 경쟁력 있는 기업을 인수하여 신사업을 추진하는 경우가 더 많겠다. 하지만, 사내벤처, 벤처투자 등의 절차를 통해 기업의 전략적 fit이라던가 피투자기업의 인력 및 문화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진 상태에서 진행하는 M&A 및 대규모 지분투자는 실패 확률을 줄여줄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사실, M&A의 경우(특히 대규모 M&A의 경우), 여러 자문사들이 함께 붙어서 많은 자문을 해주기 때문에 도움을 구할 채널이 많은데, 가장 중요한 PMI라던가, 전략적 시너지를 도출하는 부분은 내부 인력이 가장 중요할 수 밖에 없다. 기업의 내부 사정 및 전략적 가치를 도출하는 부분은 결국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내부 사정에 밝은 이들이 리드할 수 밖에 없고, 이 부분마저 외부에 의존하는 경우 형식적인 부분만 도출하는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④ 그 외의 경우 (별도 CVC 법인을 두는 경우)
별도 CVC 법인을 자회사로 두고 벤처투자를 하는 기업들도 다수 있다. 최근 일반지주회사가 CVC를 보유하는 것을 허용하고, 산업자본을 벤처투자 시장으로 유도한다는 측면에서 정부에서도 기업들의 CVC설립을 유도했다. 기업에 따라 CVC를 전략투자 목적으로 운용하는 곳도 있고, 수익 목적으로 운용하는 곳도 있는데 아직까진 아무래도 후자 쪽이 많은 것 같다. 사실, CVC를 전략투자 목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기업 내 자금 중심으로 VC펀드를 결성해야 이해상충의 이슈가 없고, 그래야 보다 전략적인 목적의 투자를 할 수 있다. 하지만 대기업 외에 CVC펀드를 기업 내부 자금만으로 운용할 만큼 여유 있는 기업들이 많지 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CVC를 전략적 목적으로 운용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고, 심사역들도 CVC에서는 독립적인 투자를 집행하거나 성과보수를 받는 것에 여러 제약이 있다 보니 선호가 낮다고 할 수 있다.

이상, 기업들의 전략투자 관련 조직 측면을 간단히 살펴 봤는데, 다음에는 조직 별 기능 및 기대효과에 대해 살펴보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