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egory Archives: K-Tech

The Importance of Secondary Trading in Stock Markets: Mechanisms That Support Growth Without Direct Cash Flow to Companies

## Introduction

When discussing the stock market, much attention is given to initial public offerings (IPOs) and direct capital raising events. However, the vast majority of trading activity occurs in the secondary market, where investors buy and sell shares among themselves. While companies do not receive direct cash from these transactions, secondary trading plays a crucial role in supporting company growth and the overall health of the financial ecosystem. This article explores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secondary trading benefits companies, even in the absence of direct cash inflows.

## 1. Liquidity Provision

One of the primary benefits of secondary trading is liquidity. A liquid market allows investors to buy and sell shares quickly and at transparent prices. This liquidity makes a company’s shares more attractive to a broader range of investors, including institutional investors who require the ability to enter and exit positions efficiently. Higher liquidity can lead to a higher valuation for the company, as investors are willing to pay a premium for shares that can be easily traded.

## 2. Price Discovery

Secondary trading facilitates price discovery, the process by which the market determines the fair value of a company’s shares. Through the continuous interaction of buyers and sellers, the stock price reflects all available information about the company’s prospects, risks, and performance. Accurate price discovery is essential for both the company and its stakeholders, as it provides a real-time assessment of the company’s value and can influence strategic decisions.

## 3. Employee Compensation Through Stock Options

Many companies use stock options and other equity-based compensation to attract and retain top talent.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depends on the existence of a vibrant secondary market. Employees are more likely to value stock options if they know they can sell their shares easily at a transparent market price. This, in turn, helps companies align employee interests with long-term corporate performance.

## 4. Easier Access to Future Capital Raising

Companies that are publicly traded with active secondary markets find it easier to raise additional capital in the future. A liquid and well-valued stock provides confidence to new investors and reduces the cost of capital. Companies can issue new shares through follow-on offerings or use their stock as currency for mergers and acquisitions, leveraging the credibility and valuation established in the secondary market.

## 5. Enhanced Corporate Governance

Active secondary trading brings greater scrutiny from analysts, institutional investors, and regulators. This increased oversight encourages better corporate governance practices, as management is held accountable by a diverse and informed shareholder base. Transparent trading and regular reporting requirements foster trust and can lead to improved operational performance over time.

## Conclusion

While secondary trading does not provide companies with direct cash inflows, its indirect benefits are substantial. By enhancing liquidity, enabling price discovery, supporting employee compensation, facilitating future capital raising, and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secondary markets play a vital role in the growth and sustainability of companies. Understanding these mechanisms is essential for investors, executives, and policymakers alike as they navigate the complexities of modern financial markets.

주식시장에서 구주거래의 중요성: 기업 현금 유입 없이도 성장을 돕는 메커니즘

# 주식시장에서 구주거래의 중요성: 기업 현금 유입 없이도 성장을 돕는 메커니즘

주식시장에서 거래되는 주식의 대부분은 ‘구주거래’입니다. 구주거래란 이미 발행된 주식이 투자자들 간에 매매되는 것으로, 신주 발행과 달리 기업에 직접적인 현금이 유입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왜 구주거래가 자본시장에서 이토록 중요한 역할을 하는 걸까요?

## 구주거래의 정의와 특징

구주거래는 기업이 과거에 발행한 주식이 증권거래소나 장외시장에서 투자자들 간에 사고팔리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이는 기업이 새로운 자금 조달을 위해 새로운 주식을 발행하는 신주 발행과는 본질적으로 다릅니다.

**구주거래의 주요 특징:**
– 기업에 직접적인 현금 유입 없음
– 기존 주주들 간의 지분 이전
– 주식의 유동성 제공
– 시장에서의 가격 발견 기능

## 구주거래가 기업 성장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

### 1. 유동성 제공으로 인한 투자 매력도 증대

구주거래 시장이 활발할수록 주식의 유동성이 높아집니다. 투자자들은 언제든지 주식을 매도할 수 있다는 확신이 있을 때 더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서게 됩니다. 이는 기업이 향후 신주를 발행할 때 더 유리한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게 만듭니다.

### 2. 정확한 기업 가치 평가

활발한 구주거래를 통해 시장에서 기업의 실시간 가치가 평가됩니다. 이러한 가격 발견 기능은 기업 경영진에게 중요한 피드백을 제공하며, 경영 성과에 대한 객관적 지표 역할을 합니다. 주가가 기업의 펀더멘털을 정확히 반영할수록, 기업은 더 효율적인 경영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 3. 경영진의 인센티브 구조 강화

구주거래가 활발한 시장에서는 주가가 경영진의 성과를 실시간으로 반영합니다. 스톡옵션이나 성과급과 연계된 경영진은 주주 가치 극대화를 위해 더욱 노력하게 되며, 이는 결국 기업의 장기적 성장으로 이어집니다.

## 자본시장 기능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1. 자본 배분의 효율성 증대

구주거래 시장에서 형성되는 주가는 자본이 가장 효율적으로 배분될 수 있도록 돕는 신호 역할을 합니다.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의 주가는 상승하고, 그렇지 않은 기업의 주가는 하락함으로써 투자자들의 자금이 더 생산적인 곳으로 흘러가게 됩니다.

### 2. 기업 지배구조 개선

구주거래를 통해 주주 구성이 변화하고, 이는 기업 지배구조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경영에 불만을 가진 주주들은 주식을 매도하고, 기업의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는 새로운 투자자들이 들어오면서 자연스럽게 경영 개선 압력이 형성됩니다.

### 3. 금융 중개 기능 강화

활발한 구주거래는 증권회사, 자산운용사 등 금융 중개기관의 수익성을 높여 금융산업 전반의 발전을 촉진합니다. 이는 다시 더 다양하고 정교한 금융 서비스의 개발로 이어져 자본시장의 깊이와 폭을 확대시킵니다.

## 구주거래의 경제적 파급효과

### 1. 부의 재분배와 소비 진작

구주거래를 통한 투자 수익은 개인 투자자들의 소득 증대로 이어져 소비를 진작시키고, 이는 다시 기업들의 매출 증대와 경제 성장으로 선순환됩니다.

### 2. 연기금과 기관투자자의 수익 창출

국민연금, 사학연금 등 연기금과 각종 기관투자자들은 구주거래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여 국민들의 노후 보장과 사회 안전망 강화에 기여합니다.

### 3. 혁신기업에 대한 간접적 지원

벤처캐피털이나 사모펀드가 투자한 기업들이 상장 후 구주거래를 통해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 구조가 있기 때문에, 이들은 더 적극적으로 혁신기업에 투자할 수 있습니다. 이는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로 이어집니다.

## 결론: 구주거래의 생태계적 가치

구주거래는 비록 기업에 직접적인 현금을 제공하지 않지만, 자본시장의 핵심 인프라로서 기업의 성장과 경제 발전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유동성 제공, 가격 발견, 효율적 자본 배분, 지배구조 개선 등 다면적 기능을 통해 건강한 자본시장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구주거래의 가치를 이해하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우리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중요합니다.

활발하고 건전한 구주거래 시장이야말로 기업과 투자자, 그리고 경제 전체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토대가 되는 것입니다.

DeepSeek Shock, Necessity is the mother of invention

Insights

  • DeepSeek Shock, 2nd ‘Sputnik moment’ for US (Sputnik moment: US gov. shocked when Russia launched world first satellite into space)
  • Proverb, ‘Necessity is the mother of invention’ was mentioned several times for describing DeepSeek shock
  • ‘Distillation’ is key tech terms that make DeepSeek differed from US big tech firms

Miscellaneous Thoughts

  • Market belief that a few big tech firms dominate AI market collapsed and more investors will focus on AI start-ups
  • Opinions that AI, LLM techs could be commoditized are very surprising and radical

Summary

China’s DeepSeek’s lightweight, open-source AI model that challenges the American AI model is a game-changer in the technology space. This model provides faster, cheaper, and more efficient AI solutions than many traditional American models. They have achieved breakthroughs with limited resources, which is a wake-up call for the US AI industry. This is more than just a technology race, it’s a reassessment of our position and value in the global technology infrastructure. The conditions are now such that the open source model developed by China cannot be dismissed too easily.

Google’s AI drug discovery (Nobel Prize in Chemistry)

My Insights

  • Google DeepMind wins joint Nobel Prize in Chemistry for the use of AI in predicting protein structures
  • Predicting protein structures using AI has brought significant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proteins
  • Using AI in Biotech industry could innovate and outperform previous research methods
  • AI Bio tech corps such as Recursion Pharms, CRISPR Theerapeutics might have upside potential in near future when AI tech is more closely commertialized

Miscellaneous Thoughts

  • ToolGen, listed in KOSDAQ, is CRISPR CAS9 IP holding company, and undergoing IP law suit
  • CRISPR/Cas9, gene editing tech, won the 2020 Nobel Prize and two female researchers who won the prize founded gene editing tech companies each. (CRISPR Therapeutics, Intellia Therapeutics)
  • CRIDPR/Cas9 tech can cure damaged gene permernantly, so monetizing recurring revenue is questionable

Summary

“What is the Nobel Prize in Chemistry Created by Google AI?” features Professor Baek Min-kyung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discussing the groundbreaking achievement of the Nobel Prize awarded for the use of AI in predicting protein structures. The overarching theme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AI in advancing our understanding of proteins, which are crucial for biological functions and disease treatment, showcasing how this innovation can revolutionize drug development and scientific research. The discussion highlights the collaboration between AI experts and biochemists, leading to a transformative approach in the field of chemistry.

2차전지 관련 Tech 알아보기 ①

어떤 것 들을 알아둬야 할까?

2차전지 관련 투자를 하다 보면 화학과 관련한 내용을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많이 든다. 나열해 보자면 아래의 목록과 같이 많은데 학창시절 대충 배운 것들이긴 하지만 오랜만에 보다 보니 머릿속에 체계적으로 정리가 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이에 대해 하나씩 차근차근 정리해 보고자 한다.

  1.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전해질), 분리막
  2. 셀, 모듈, 팩
  3. NCA(니켈코발트알루미늄, 삼원계), NCM(니켈코발트망간, 삼원계), LFP(인산철, 이원계)
  4. 니켈, 알루미늄, 망간, 코발트
  5. 주기율표 상 원소에 따른 특성
  6. 전기분해, 충전, 방전

먼저 ① 양극재, 음극재, 전해액(전해질), 분리막에 대해 알아보자.

양극재(양극활물질)는 양극(+)에 있는 리튬이온을 내보내는 곳이다. 양극재는 흔히 배터리의 밀도와 관련되어 있고, 밀도는 배터리의 용량과 연결된다. 그리고 용량은 결국 전기차의 경우 주행거리에 영향을 주게 된다.

  • 양극재 = 배터리 밀도 = 배터리 용량 = 전기차 주행거리

양극재는 흔히 니켈, 알루미늄, 망간, 코발트를 이용하고, 대표적인 배터리 종류로 NCA, NCM, LFP를 떠올릴 수 있다.

음극재는 양극에서 이동해 온 리튬이온이 삽입되는 공간이다. 음극재는 배터리의 충전 속도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음극재가 저장할 수 있는 리튬이온의 양이 많을 수록 배터리 수명이 길고, 리튬이온을 잘 받아들일수록 충전 시간이 단축된다. 대표적인 소재는 ‘흑연(graphite)’이다. 차세대 음극재 소재로는 ‘실리콘(Silicon)’이 주목 받고 있다.

전해액은 양극-음극 간 이온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중간 매개체로 리튬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도움. 전해질, 용매, 첨가재로 구성되고, 이온전도도 향상, 수명 향상, 안정성 확보를 위해 다양한 첨가재를 사용하고 있고, 용매는 전해질을 녹이기 위해 사용하는 액체임

분리막은 미세한 구멍이 있어서 리튬이온이 양극-음극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하지만, 양극-음극의 물리적 접촉을 절대로 허락하지 않는 목적. 전지의 안정성을 결정. 분리막 문제 생기면 음극에서 발생하는 Dendrite 확장을 방지하지 못 해 내부적인 단락이 발생하고, 이것은 열폭주로 이어짐. 따라서 분리막은 일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자동으로 구멍을 차단하여 이온의 전달을 막는 shut down 기능 가짐

② 셀, 모듈, 팩

패키징 방식에 의한 분류로 셀은 ‘리튬이온전지의 기본 단위’, 모듈은 ‘베터리 셀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프레임에 넣어 조립, 팩은 ‘모듈을 여러 개 연결하여 BMS, 냉각시스템 등 각종 제어시스템 장착하여 완성한 배터리 시스템 최종 형태’ 이고, 즉 셀 > 모듈 > 팩 형태로 제작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③ NCA, NCM, LFP

NCM은 양극재(양극활물질)를 Ni(니켈), Co(코발트), Mn(망간산화물)로 구성한 배터리이고,
NCA는 양극재를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산화물로 구성한 배터리로, 출력 밀도와 에너지 밀도가 높은 특성 보유,
LFP는 코발트 대신 철을 사용한 것으로 안정적이고 수명이 길다는 장점 있으나, 리튬이온이 빠져 나가는 확산속도가 낮고, 전기전도성도 낮음

2편에 이어서 정리하겠음!